본문 바로가기

목록

(199)
통신 프로토콜(Modbus, TCP/IP) 통신 프로토콜: 서로 다른 기기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표준화시켜 놓은 통신 규약 1. Modbus 모디콘에서 1979년 제안한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용 시리얼 통신 프로토콜(RS-232, RS-485)이다. 간단하고 안정적이어서 지금은 시리얼통신뿐만 아니라 TCP/IP 및 UDP에서도 구현할 수 있도록 확장되었다. - Modbus의 장점 1) 산업용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하게 개발되었다. 2) 오픈 프로토콜로 무료이다. 3) 개발 및 관리가 쉽다. 4) 비트 또는 워드 단위로 정보를 전달한다. - Modbus의 작동 특징 1) 마스터/슬레이브 구조로 여러 주변 장비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2)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모든 장비들이..
비동기 시리얼(직렬) 통신의 종류와 개념 비동기 직렬 통신 (UART) 직렬 저속 (RS-232, RS-422, RS-485) 직렬 고속 (Ethernet) 1.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1) UART의 개념 UART는 범용 비동기 송수신기라고 하며 병렬 데이터의 형태를 직렬 방식으로 전환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서 1111 0000 이라는 데이터를 송수신 한다고 했을 때 병렬 통신은 1-> 1-> 1-> 1-> 0-> 0-> 0-> 0-> 을 동시에 전송하는 반면 직렬 통신은 1->1->1->1->0->0->0->0을 순서대로 전송하게 된다. UART는 이러한 병렬 통신을 직렬 방식으로 바꿔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Asynchronous(비동기)는 무..
Hot Line과 Neutral Line 일반 전기와 배터리는 극성을 표시하는 방법이 다릅니다. 전기는 교류이고 발전소에서 초고전압의 형태로 3상(R상, S상, T상) 4선이 변전소로 오고 전압을 십만V 혹은 그 이상의 전압을 조금 안전한 22900V로 낮추어 전신주 혹은 지하로 매설하여 주택, 상가, 공장지역으로 연결됩니다. 이 22900V의 전선에 변압기를 설치해서 R, S, T 3개의 전압선이 변압기에서 380V로 낮추어지고 변압기의 케이스는 접지선 역할을 하게 되어 이 선과 380V의 3개의 선 중 한 개와 만나 220V의 전기가 됩니다. 그런데 전기도 교류이고 극성이 있습니다. 다만 + 혹은 -라고 하지 않고 +극성과 동격인 Hot Line과 -극성과 동격인 Neutral Line이라고 합니다. 직류는 -극을 기준으로 +극의 전압이 일..
송진과 납땜 플럭스(flux)는 금속 또는 합금을 용해할 때 대기와 닿는 것을 방해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혼합염으로 주로 송진(로진, 레진), 유동성 첨가제, 솔벤트, 그리고 활성제 등으로 구성된다. 플럭스는 용해한 금속면이 직접 대기에 닿으면 산화하거나 대기 속의 수분과 반응하여 수소를 흡수하여 생기는 불편함을 제거한다. 즉, 납땜•용접 등으로 금속을 접합할 때에 접착면의 산화를 방지하여 접합이 완전하게 되도록 한다. 플럭스 용도를 다시 정리하면 1) 표면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세정작용 2) 공기와 접촉하여 다시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재산화 방지작용 3) 표면 장력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액체 상태의 납이 표면 장력을 가지고 있다면 납땜이 되어야 할 공간에 충분히 납 액체가 젖어 들지 않게 된다).
측정기에 측정 범위가 있는 이유 측정기에는 여러 측정 범위(Measuring Range)가 나뉘어있다. 전압 측정을 예로 들면 보통 0~5V, 0~10V, 0~500V와 같이 각각 측정 범위를 선택할 수 있다. 그렇다면 내가 3V의 전압을 측정하려면 어떤 범위를 선택해도 상관없는데 왜 이렇게 측정 범위를 나누었을까? 그 이유는 분해능 때문이다. 분해능은 센서, 계측기에서 분리 식별이 가능한 아날로그 신호의 최소 변화량이다. 계측기마다 이 분해능이 하드웨어 적으로 정해져 있다. 만약 분해능이 10이고 측정 범위가 0~5V라면 0.5V단위로 읽을 수 있고, 같은 분해능에 측정 범위가 0~10V라면 1V단위로 읽을 수 있다. 따라서 분해능과 측정 범위에 따라 측정하는 정밀도가 달라지게 된다. 결론적으로 내가 3V의 전압을 측정한다면 어느 측..
통신 방식의 비교 1. 직렬 통신과 병렬 통신 직렬 통신은 한번에 하나의 데이터 비트를 전송하고, 병렬 통신은 한번에 여러 개의 데이터 비트를 전송한다. 따라서 병렬 통신의 경우에는 한번에 전송하고자 하는 비트의 개수만큼 물리적인 데이터 라인이 필요하고, 직렬 통신의 경우에는 하나의 데이터 라인이 필요하다. 과거 프린터나 스캐너 장비를 컴퓨터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던 케이블이 대표적인 병렬 통신 방식이었으나, 직렬 통신 방식의 USB 케이블로 대체되면서 최근에는 병렬 통신 방식의 케이블은 찾아 보기 힘들다. 상식적으로 생각해 보면, 한번에 여러 비트의 정보를 보내는 병렬 데이터 전송이 한 비트씩 차례로 보내는 직렬 데이터 전송보다 빠르다. 만약 그렇다면 오늘날 부품간, 기기간 고속의 데이터 통신이 요구되는 영역에서는 병렬..
OSI 7 Layer 1. OSI 7 Layer란? - OSI 모형(Open System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 개방형 시스템 상호연결 참조 모델)은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서 개발한 모델로 서로 다른 시스템간의 통신을 허용하기 위해 만들었다. 이 모델은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누었는데 그 이유는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별로 파악할 수 있고, 문제가 발생하면 해당 계층만 고치면 되기 때문이다. 2. OSI 7 Layer 구조 1) 7단계 - Application Layer(응용 계층) : 사용자가 특정 Application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고 가공하는 계층 - 특징 사용자와 가장 밀접한 계층으로 인터페이스 역할 응용 프로세스 간의 정보 교환을 담당 -..
트리거를 통한 데이터의 보정 ● 실험 목적 GS200에서 보낸 신호를 GR200의 로컬 USB에 저장한 데이터와 GR200과 통신한 컴퓨터에 저장된 데이터의 시간에 따른 값을 차이를 Trigger를 통해 보정한다. ● 실험 장비 Yokogawa - GS200 DC Voltage / Current Source HANYOUNG nux - GR200 터치패널 그래픽 기록계 TCS 응용 프로그램 ● 실험 방법 1) GS200에서 보낸 신호를 GR200의 USB, 컴퓨터의 TCS프로그램에 각각 저장 2)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Trigger 찾기 3) Trigger를 통해 데이터 보정하기 4) 결과 값 도출하기 ● 실험값 1) Trigger를 통한 보정 전(Raw Data) 시간 GR200 컴퓨터 시간 GR200 컴퓨터 오후 1:5..